전체 글65 개인사업자 부가세(부가가치세) 신고 납부 기간 신고방법 계산방법 환급방법 알아보기 제가 세무 회계 금융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주로 쓰는 주제가 종합소득세와 부가세 관련입니다. 이제 저도 부가세를 신고해야 하는 기간이 되어서 정리하던 중에 제가 쓴 포스팅들을 쭉 둘러봤는데요. 부가세에 관한 다양한 주제들을 많이 썼었는데, 신고기간이나 신고방법 등에 관한 기본적인 글은 없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이러한 내용을 담아보려 합니다. 처음 개인사업자로서 시작하시는 분들과 사업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부가세 신고를 잘 모르시는 분들이 끝까지 읽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시리라 믿습니다. 핵심적인 내용들을 위주로 쉽게 풀어쓰고, 예시도 들어보겠습니다. 부가가치세는 결국 최종 소비자가 부담 국세청 홈택스에는 부가가치세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부가가치세란 상품의 거래나 서비스의 제공.. 2024. 1. 11. 구글 애드센스 수익(티스토리, 유튜브, 워드프레스, 블로그스팟) 종합소득세 세금 신고 방법 | 기타소득 세율 20%, 300만 원 이하 분리과세 | 사업소득 세율 3.3% 간편장부 신고 구글 애드센스를 통해 광고수익을 내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유튜브 채널을 만들고, 좋은 콘텐츠를 통해 조회수를 높여 많은 사람들에게 광고를 노출하고 수익을 얻습니다. 마찬가지로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블로그스팟 등의 블로그를 통해 양질의 글을 써서 대중들의 조회수를 높이고, 구글 광고 노출로 돈을 버는 것입니다. 돈을 버는 곳에 세금이 있습니다. 그럼, 애드센스를 통해 버는 광고수입은 매년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저 또한 지금 이 글을 쓰는 티스토리를 통해 구글 애드센스 광고수입을 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도 올해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처음으로 해야 하고요. 따라서, 이번 포스팅은 구글 애드센스 수익 관련, 어떻게 세금 신고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얘기입니다. .. 2024. 1. 9.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직장가입자 보험료 차이 | 국민연금 보험료 계산 | 임의가입제도, 납부예외 신청 직장인들은 매달 월급에서 4대 보험료(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가 알아서 빠져나갑니다. 따라서, 내가 따로 계산하거나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더군다나, 국민연금과 건강보험료는 회사에서 절반을 내주니까 더욱 신경을 안 쓰게 되는 것 같더라고요. 그러다가, 퇴사를 하거나 개인사업자 등록을 하게 되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일단,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바로 '지역가입자 가입 안내문'이라는 것을 받게 됩니다. 건강보험료 납입의 기준이 이제는 직장가입자가 아니라 지역가입자로 전환된다는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건강보험료가 지역가입자일 때와 직장가입자일 때 어떻게 다른 지, 금액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울러, 국민연금도 지역가입자와 직장가입자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고 계.. 2023. 12. 24. IRP 모바일 비대면 계좌개설 가입방법 알아보기 | 최대 900만 원 연말정산 118만 원 세액공제 혜택 오늘은 퇴직금과 IRP 계좌에 대해서 얘기해보려 합니다. 정말 퇴직금을 받으려면 정말 IRP 계좌를 만들어야 할까요? 퇴직하기 전에 중도정산을 받으려면 IRP 계좌를 개설해야 할까요? 연말정산에서 IRP 계좌가 세액공제 금액이 크다고 하던데, 최대 얼마까지 가능할까요? 개인이 잘 운용하면 수익률도 좋다고 하던데, 어떻게 운용하는 것이 최적일까요? 이번 포스팅은 이러한 퇴직금과 IRP 계좌와 관련된 궁금증들을 해결해보고자 합니다. 결론적으로, IRP 계좌는 퇴직금을 받고, 운용하고, 중도정산을 받기 위해서는 꼭 필요합니다. 따라서 IRP 계좌를 비대면 온라인으로 개설하는 것을 추천드리고요. 아울러 연말정산을 위해, 연간 최대 900만 원까지 IRP 계좌에 입금할 수 있고(세액공제 한도금액), 이 중 최대 .. 2023. 12. 20. 부동산 중개수수료(복비) 계산 | 부가세 현금영수증 세금계산서 포함 | 매매 전세 월세 | 아파트 주택 오피스텔 토지 및 상가 제가 2년 전에 아파트를 팔면서 부동산 중개수수료, 즉 복비를 낸 적이 있습니다. 그때는 아시다시피 2021년이고, 코로나로 매수세가 실종된 상태라서 매도자가 아닌 매수자가 우위인 시장이었습니다. 따라서 파는 저의 입장에서는 어떤 공인중개사든 제 물건을 팔아만 주면 고마운 상태였습니다. 그래서 사실, 복비를 깎아달라는 말도 붙일 수가 없더군요. 그 공인중개사분은 법정 상한요율인 0.4%를 꽉 채워서 복비로 받았습니다. 그리고 부가세는 별도라서 부가세 10%도 추가로 받았고요. 저는 단돈 10 ~ 20만 원이라도 깎아줄 수 없느냐고 마지막으로 얘기했지만, 요즘 거래가 없어서 자기도 어렵다며 안 깎아주더라고요. 그때, 느꼈습니다. 복비는 매수자가 물건을 보고 나서, 실제 계약서를 쓰기 전에 미리미리 합의를 .. 2023. 11. 28. 이전 1 2 3 4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