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부동산 (양도세, 주담대)6 부동산 중개수수료(복비) 계산 | 부가세 현금영수증 세금계산서 포함 | 매매 전세 월세 | 아파트 주택 오피스텔 토지 및 상가 제가 2년 전에 아파트를 팔면서 부동산 중개수수료, 즉 복비를 낸 적이 있습니다. 그때는 아시다시피 2021년이고, 코로나로 매수세가 실종된 상태라서 매도자가 아닌 매수자가 우위인 시장이었습니다. 따라서 파는 저의 입장에서는 어떤 공인중개사든 제 물건을 팔아만 주면 고마운 상태였습니다. 그래서 사실, 복비를 깎아달라는 말도 붙일 수가 없더군요. 그 공인중개사분은 법정 상한요율인 0.4%를 꽉 채워서 복비로 받았습니다. 그리고 부가세는 별도라서 부가세 10%도 추가로 받았고요. 저는 단돈 10 ~ 20만 원이라도 깎아줄 수 없느냐고 마지막으로 얘기했지만, 요즘 거래가 없어서 자기도 어렵다며 안 깎아주더라고요. 그때, 느꼈습니다. 복비는 매수자가 물건을 보고 나서, 실제 계약서를 쓰기 전에 미리미리 합의를 .. 2023. 11. 28. 상가 건물 빌딩 매매(매수), 개인사업자 아닌 법인사업자로 해야 하는 3가지 이유 | 빌딩 양도소득세 법인세율 종합소득세율 개인사업자가 50억 원짜리 상가건물(빌딩)을 매입해서 철거하고, 10억 원을 들여 다시 신축을 하고, 약 10년 뒤에 100억 원에 건물을 팔았습니다. 약 10년 만에 60억 원이 100억 원이 되었으니, 양도차익으로 40억 원을 벌었습니다. 이 분은 종합소득세율을 적용받아서 약 45%(지방세 4.5%까지 포함하면 49.5%)를 세금으로 내야 합니다. 거의 20억 원 가까이를 양도세금으로만 내야 하는 것이죠. 그러나, 이 분이 만약 같은 물건을 법인으로 취득했고 팔았다면, 얼마의 양도세를 냈을까요? 40억 원은 법인세율상 19% 구간(지방세 1.9%까지 포함하면 20.9%)이므로 양도세는 약 8억 원입니다. 결론적으로, 개인사업자는 20억 원을, 법인사업자는 약 8억 원을 양도세로 내는 것입니다. 12억.. 2023. 11. 25. 국내(한국)주식 해외(미국)주식 | 대주주 요건 10억 | 양도소득세 양도세율 22% 27.5%| 배당소득세 배당세율 15.4% | 증권거래세 세율 0.2% 직장인, 자영업자 가릴 것 없이 요즘 거의 대부분이 주식을 합니다. 저 또한 주식을 해온 지 벌써 15년 가까이 되네요. 부동산 투자는 시간도 오래 걸리고 큰 목돈이 필요하지만, 주식 투자는 소액으로 언제든지 쉽게 투자할 수 있기 때문일 텐데요. 최근 2차 전지 섹터에서 에코프로가 저점대비 20배 가까이 상승하면서 이런 경향을 더욱 부추기는 것 같습니다. 또한, 몇 년 전부터 국내가 아닌 해외, 즉 미국주식 투자를 많이 하고 있는데요.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애플 등 빅테크 기업들의 수익률이 워낙 한국주식에 비해서 좋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은 국내주식과 해외주식을 하는 데 있어서 대주주 요건은 무엇인지, 양도소득세와 양도세율, 배당소득세와 배당세율, 증권거래세와 세율이 각각 어떻게 .. 2023. 11. 12. 1가구 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면제조건 | 장기보유특별공제(장특공) | 양도소득세율 | 양도소득세 계산기 | 12억 원 이상 고가주택 계산방법 이번 포스팅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관심을 가지고 있는 주택(아파트) 양도소득세에 대한 얘기를 하려고 합니다. 일반적인 경우 대부분 1 주택자가 많을 텐데요. 1 주택자가 집을 사고팔 때, 양도세가 면제되는 조건이 무엇인지, 장기보유특별공제, 소위 장특공은 어떤 경우에 적용을 받을 수 있는지, 12억 원 이상 고가주택은 양도세 비과세가 안 된다고 하던데 과연 그러한지, 국세청 홈택스에 있는 양도소득세 계산기를 통해 단계별로 계산하면서 쉽게 따라올 수 있도록 작성해 보겠습니다. 코로나19 이후, 미국이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면서 아파트 가격도 영향을 받아 계속 조정을 받아왔습니다. 그러나 얼마 전 미국이 기준금리를 2회 연속 동결하고, 내년 상반기쯤부터 기준금리를 내릴 수도 있다는 시그널을 주고 있습니.. 2023. 11. 7. 주택담보대출 LTV DTI DSR 뜻 계산 한도금액 DSR 비율 낮추는 팁(주담대 한도증액 방법) 부동산 주택담보대출 관련해 자주 듣는 용어이면서 어려운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LTV, DTI, DSR인데요. 저도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자주 헷갈려서, 인터넷을 통해 찾아서 확인해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은 LTV, DTI, DSR의 뜻을 비교하고, 각각 어떻게 계산하는지, 그리고 한도금액과 DSR 비율을 낮추는 팁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기회에 주담대 관련 핵심 용어 3가지에 대해 확실히 알고 가셔서, 추후 주담대 등을 통한 대출과 자금운용을 하실 때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LTV, DTI, DSR 한눈에 비교 LTV, DTI, DSR 계산하는 분모값 분자값 LTV는 Loan To Value ratio를 줄인 말로써, 한국어로는 '담보인정비율'입니다. 통.. 2023. 10. 2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