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5

자식에게 아파트 증여해주는 3가지 방법 | 전체 증여(자식의 증여세 및 취득세까지 증여) | 부담부 증여(전세보증금 자녀 부담) | 일부 증여(전세보증금 부모 부담) 세상에 부자가 되는 방법은 크게 3가지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는 사업입니다. 남들과 다른 물건이나 서비스를 제공해 큰돈을 버는 것입니다. 둘째는 부동산 재테크입니다. 어느 정도의 시드머니로 꾸준히 부동산에 투자하면 큰 목돈을 만질 수 있습니다. 세 번째는 돈 많은 부모에게 재산을 물려받는 것입니다. 삼성전자의 이재용은 이건희로부터 막대한 주식 등을 증여 및 상속받아 부자가 되었습니다. 우리 부모 세대와는 다르게, 요즘은 월급을 착실히 10년 동안 모아나 가서 서울에 아파트 한 채 살 수 있는 시대가 아닙니다. 그래서 자식 세대는 취업도 포기하고, 결혼도 포기하고, 집 장만도 포기하는 3포 세대라고도 합니다. 세상이 이렇다 보니, 서울에 아파트 한 채 가지고 있는 부모 입장에서는 자녀들에게 집 한 .. 2023. 10. 20.
부모 자식, 부부간 계좌이체도 증여세? 현금 증여 피하는 방법과 기준 알아보기 부모가 자녀에게 증여해 주는 방식 중 가장 쉽게 현금을 주는 것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금 자체를 모아서 직접 주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생활비 명목으로 소액의 계좌이체를 통해 용돈처럼 주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입니다. 이러한 현금성 자산을 이전하는 경우 증여세로부터 정말 안전할까요? 아닙니다. 원칙적으로 증여로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그럼 지금까지 자녀에게 줬던 현금을 다 모아서 세금신고를 해야 할까요? 이번 포스팅은 부모 자식 간, 그리고 부부간의 현금 이동과 증여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체적으로 얼마까지를 증여로 볼 지, 주의해야 할 현금의 이동, 부부 사이의 계좌이체 특징 등을 살펴보겠습니다. 현금 증여세 부과 및 증여세 면제 금액 기준 원칙적으로, 부모의 계좌에서 자식의 계좌로 현금이 .. 2023. 10. 16.
개인사업자 카드사 수수료 종합소득세 비용처리 방법(수수료 확인 방법, 카드매출의 부가세 매출 세액 공제 1.3%) 요즘은 카드 사용이 편리하고 혜택도 많기 때문에 사업 매출의 거의 대부분이 카드 매출일 텐데요. 저 또한 작은 사업체를 운영하고 있는데, 현금 비중은 10% 미만이고, 90% 이상이 카드 매출로 잡힙니다. 그런데, 이러한 카드 매출 중에서 작게는 0.5%, 많게는 1.5%가량이 카드사 이용에 따른 수수료로 나가는데요. 이 비용을 종합소득세 신고를 할 때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저는 최근에서야 알게 되었고, 그 자세한 내용을 이번 포스팅 주제로 다루려고 합니다. 매출액 기준으로 신용카드와 체크카드의 수수료율, 여신금융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수수료 확인하는 방법, 부가가치세 신고할 때 카드 매출 세액 공제 1.3% 고려할 때 연매출 10억 원 이하의 중소 자영업자의 경우 카드사 수수료.. 2023. 10. 16.
부모 자식 간 부동산(아파트) 매매로 증여세 절세 방법 | 증여추정배제 저가양도 3억원 | 양도소득세 적용 기준 부모 자식 간에 세금을 내지 않고 증여를 받을 수 있는 한도 금액은 5,000만 원입니다. 그 이상 금액의 부동산 또는 동산(예금, 주식, 현금 등)을 국세청에 신고 없이 자식에게 주게 된다면, 어느 날 갑자기 자금출처를 소명하라고 하면서 증여세를 내라고 등기우편이 날아올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아파트 가격이 폭락하면서 증여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이유는 바로 아파트의 '시가'라는 개념이 무너진 것을 계기로, 증여하기보다 부모 자식 간에 매매를 통해 아파트 가격을 최대한 낮춰서 거래하고, 부모는 최소한의 양도세만 내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과연 이것이 가능한 얘기일까요? 3억 원까지 증여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는 말은 근거가 있는 걸까요? 이번 포스팅은 이런 말들과 관련된 '증여추정배제'와 .. 2023. 9. 28.
퇴직금(퇴직연금) 중간정산 가능한 6가지 상황 | 중도인출 신청방법 및 필요서류 갑자기 목돈이 필요할 때, 어떻게 하시나요? 직장인이라면, 가장 먼저 신용대출(마이너스 통장)을 떠올리실 텐데요. 요즘은 이런 대출도 금리가 많이 올라서, 아무리 신용이 좋아도 5% 정도의 이자를 내야 합니다. 이럴 때 한 가지 방법이 있는데, 바로 '퇴직금 중간정산'입니다. 퇴직금은 말 그대로 퇴직을 대비해 모아놓은 금액이지만, 특별한 사유가 있다면 재직 중에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떤 상황에서 내가 그동안 쌓아놓은 퇴직금을 받을 수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은 퇴직금(퇴직연금) 중간정산이 가능한 6가지 이유, DB형과 DC형의 선택 기준, 중도인출 신청방법, 필요 서류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퇴직연금 2가지 유형 (확정급여형, 확정기여형) 정규직으로 직장을 다니시고 있는 분들은 회사에서 퇴직.. 2023. 9. 26.